1️⃣ 전 세계 자산 10,000조 달러 돌파
- 2023년: 900조 달러 → 2025년: 1,000조 달러(연평균 6% 증가)
- 통화 공급량(M2) 연평균 4.8% 증가 → 화폐 가치 희석 진행 중
2️⃣ 비트코인, 금 자산 비중 급증
- 비트코인 점유율: 0.04%(2023) → 0.19%(2025), 323% 상승
- 금 점유율: 1.3% → 2.2%, 63% 증가
- 채권·현금 비중은 감소
3️⃣ 실물 자산 강세, 화폐 기반 자산 부진
- 금, 예술품, 주식, 부동산 상승세
- 채권, 현금 성장 둔화
4️⃣ 통화 팽창 = 자산 가격 상승의 원인
- 2015~2025년 M2 증가율: 연 5.8%
- 자산 성장률과 거의 일치 → 실질 가치 증가보다 명목 상승 가능성
💡 결론
마이어스는 자산 상승의 핵심 배경으로 "화폐 희석(dilution)"을 지목하며, 향후 비트코인이 통화팽창 시대의 대표적 가치 저장 수단이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
비트코인과 금, 글로벌 자산 비중 확대…채권·현금은 축소
최근 2년간 글로벌 자산 시장에서 뚜렷한 변화가 나타났습니다. 실물 자산(비트코인·금·예술품) 비중은 확대되고, 채권과 현금 비중은 감소하는 추세입니다.
📊 자산별 연평균 성장률(2023~2025)
- 금: 12조 → 22조 달러 (연 35% 성장)
- 예술품·수집품: 24조 → 27조 달러 (연 6% 증가)
- 채권: 300조 → 318조 달러 (연 3% 증가)
- 현금: 120조 → 129조 달러 (연 4% 증가)
- 주식: 연 8% 성장
- 부동산: 연 7% 성장
🪙 비트코인 & 금, 시장 점유율 급등
- 비트코인 점유율: 0.04% → 0.19% (323% 상승)
- 금 점유율: 1.3% → 2.2% (63% 증가)
🔻 채권·현금 비중 감소
- 채권 점유율: 33.3% → 31.4% (-6%)
- 현금 점유율: 13.3% → 12.7% (-4%)
통화 팽창이 글로벌 자산 성장의 주요 원인
2015~2025년, 전 세계 21개 주요국의 통화 공급량(M2) 은 연 5.8% 속도로 증가했습니다. 같은 기간 글로벌 자산 성장률(평균 6%)과 거의 동일한 수치입니다.
🔎 주요 포인트
- 자산 가격 상승 = 실질 가치 증가 아님
- 통화 공급 확대 → 자산 명목 가격 상승 가능성 높음
- 2023~2025년 M2 증가율: 연 4.8%
- 장기 평균(5.8%)보다 낮음
- 팬데믹 이후 유동성 축소와 긴축 기조의 영향
핵심 인사이트:
최근 자산 가격 상승의 상당 부분은 화폐 가치 희석(dilution) 때문이며, 실질 가치보다는 명목 가격 증가에 불과할 수 있습니다.
통화팽창과 글로벌 자산 성장-딜런 리클레어
제시 마이어스는 자산 상승의 배경을 화폐의 희석(dilution)으로 규정했다.
https://band.us/band/80774764/post/17579
뉴스헤드라인 2025.05.06 https://youtu.be/pmVySiClvdQ
비트코인, 4차산업, 인공지능 | 밴드
www.band.us